- Theme : 17. 실버택배: 노인 일자리 창출 - CJ대한통운
- 기업명 : CJ대한통운
- Industry-Domain : #CSV(Creating Shared Value) #CSR #노인일자리 #택배
- BM :
- Insight :
CJ대한통운의 실버택배는 택배 차량이 아파트 단지에 물건을 싣고 오면 인근에 사는 노인들이 물건을 동별로 분류하고 전동카트를 이용해 집 앞까지 배송하는 허브 앤 스포크(Hub&Spoke, 허브를 중심으로 화물을 모은 후, 배송지별로 다시 정리해 화물을 배달) 방식의 비즈니스 모델이다.
기업과 사회가 동반성장하는 대표적 사례.
- 본문내용 :
CJ대한통운의 실버택배는 택배 차량이 아파트 단지에 물건을 싣고 오면 인근에 사는 노인들이 물건을 동별로 분류하고 전동카트를 이용해 집 앞까지 배송하는 허브 앤 스포크(Hub&Spoke, 허브를 중심으로 화물을 모은 후, 배송지별로 다시 정리해 화물을 배달) 방식의 비즈니스 모델이다.
실버택배는 주로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을 택배기사로 채용해 지역 사회에 시니어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기여한다. 실버택배 배송원은 하루 약 4시간 정도, 보통 월수금, 화목토로 조를 나눠 교대로 근무한다. 월급은 최저 시급을 적용해 한 달에 약 50만 원 정도(2017년 기준)다. 큰 금액은 아니지만 노년에도 일을 할 수 있다는 즐거움에 택배원들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
실버택배는 기업과 사회가 동반 성장할 수 있는 대표 사례로 자리매김하며 대내외적으로 큰 조명을 받았다. 지난 2015년에 이어 2017년에도 CSV 효과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제4회 CSV 포터상 효과성 부문에서 수상했다. 이외에도 영국 경제 전문지 <더 이코노미스트>가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기대 수명’ 을 주제로 한 리포트에서 실버택배 모델을 한국의 대표적 노인 일자리 창출 사례로 소개했다. UN 산하 전문 기구인 UNGC(United Nations Global Compact)가 발간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사례집에 수록되기도 했다.
CJ대한통운은 실버택배의 CSV 성공 모델을 기반으로 서울 노원 구립 장애인 일자리센터와 함께 발달장애인 택배 사업을 시범적으로 진행 중이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민관협력을 통해 고안한 실버택배 모델은 양질의 노인 일자리를 창출하고 빈곤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며 “앞으로 실버택배 모델을 발달장애인과 저소득층 등 사회적 취향 계층까지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세상을 바꾸는 CSV 전략, 그 중심 선 한국 기업은 어디?│인터비즈
[DBR/동아비즈니스리뷰] 국내 기업의 '공유가치 창출 (CSV·Creating Shared Value)' 활...
blog.naver.com
'> Business >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 상가, 팝업스토어계의 에어비앤비 - '어피어히어' (0) | 2020.09.01 |
---|---|
18. 포장지 하나 바꿔 대박난 프로틴바- 'RX바' (0) | 2020.09.01 |
16. '기업가정신의 정석'이라는 쓰레기 수거회사의 CEO. - 'O2E' (0) | 2020.08.09 |
15. 블랙야크가 산을 좋아하는 사람들과 함께 만든 브랜드. - 'BAC' (0) | 2020.08.08 |
14. "아멕스 카드 쓰면 자유여신상 복원" 강력한 명분이 소비자를 움직였다. - '아메리칸익스프레스' (0) | 2020.08.08 |